[그래픽뉴스] 지방인구 감소<br /><br />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지방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전국의 89곳 지역을 인구 감소 지역으로 지정해 매년 1조 원의 기금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국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전국 기초 지자체의 66%인 151곳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이 가운데 인구 정점 대비 20% 이상 인구가 줄어든 시·군은 60곳으로 집계됐는데요.<br /><br />특히 인구에서 군 지역이 차지하는 인구 비중은 급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늘고 지방소멸위험이 가속화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3∼4월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만7천5백 명으로, 전년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늘었고 전국 228개 시·군·구 기준 소멸위험지역은 2019년 5월 93개에서 지난해 4월 105개로 12곳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현실로 다가온 '지방 소멸 위기'에 정부는 전국 89곳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처음 지정하고 지원책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인구감소지역은 전남과 경북이 각각 16곳으로 가장 많고, 경기와 인천 등 수도권 지역 4곳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부산 3곳, 대구 2곳 등 도심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일부 도심 지역도 인구 감소지역으로 지정됐습니다.<br /><br />89곳의 인구감소지역은 앞으로 여러 행정, 재정적 지원을 받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내년부터 매년 1조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10년간 지원해 일자리 창출, 청년인구 유입, 생활인구 확대 등에 쓸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또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각종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'특별지방자치단체' 제도 등을 활용해 자치단체 간 연계·협력도 지원합니다.<br /><br />저출산 고령화와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인해 지방의 자립 기반이 무너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지방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근본적 해결책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